What else should I be
All apologies
What else should I say
Everyone is gay
What else could I write
I don't have the right
What else should I be
All apologies
In the sun
In the sun I feed as one
In the sun
In the sun
I'm married
buried
I wish I was like you
Easily amused
Find my nest of salt
Everything is my fault
I'll take all the blame
Aqur scafoam shame
Sunburn with freezeburn
Choking on the ashes of her enemy
All in all we all are
------------------------------------------------------------------
이전 블로그에 포스팅했을 때 허브님이 달아주셨던 댓글을 덧붙입니다.
너바나의 가사는 절대 평서형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커트의 가사는 일기에서 온 것이 대부분이고, 자기의 회고나 스스로의 의문구들이 많았습니다. 이것들은 커트만의 은유법이나 다른 비유에 따라 여러 의미로 상징이 됩니다. 따라서 제 생각엔 저 위 가사들 중 일부는 이렇게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코러스 - 햇빛 아래서 나는 one(내가 되고자 하는 어떤 이나 상태)과 같아짐을 느꼈어. 영광(sun) 속에서 나는 결혼했고(I was married) 나는 죽을거야 혹은 은퇴할거야(I will Burried)
즉, 자신은 결코 fade away하지 않을 것, it's better than to burn out과도 일맥 상통합니다.
2절 - find my nest of salt? 소금으로 만든 성은 비가 오면 무너지듯,(nest of salt)는 금세 사라질 수 있는 유명세나 명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내 명성은 허구이며 팬들 혹은 평론가들에게 던지는 냉소적인 질문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내 명성의 허구를 찾았니? 혹은 알겠니?
그래 그 모든 것들 마저 다 내 잘못으로 돌리렴으로 이어지는 것 같네요.
- 가사를 올려놓으신 점이 마음에 들어서 올려보았습니다. 우리는 흔히 커트 코베인이 가사를 굉장히 제멋대로 쓰고 잘못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사를 그저 평서형과 같은 정형된 틀에 놓는 것도 그다지 올바른 방법같지는 않습니다. 플리의 말에 따르면 커트의 가사는 시적인 것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커트의 가사는 은유적이며 비유법을 많이 쓰고 도치법이나 의문형까지도 등장합니다. 이는 커트가 사람들은 자신을 단지 곡만을 쓰는 사람으로 한정한다는 불평을 통해서도 자연스럽게 이해 됩니다. 뭐 해석하기 나름이겠지만 우리는 너바나라는 밴드와 커트 코베인을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코러스 - 햇빛 아래서 나는 one(내가 되고자 하는 어떤 이나 상태)과 같아짐을 느꼈어. 영광(sun) 속에서 나는 결혼했고(I was married) 나는 죽을거야 혹은 은퇴할거야(I will Burried)
즉, 자신은 결코 fade away하지 않을 것, it's better than to burn out과도 일맥 상통합니다.
2절 - find my nest of salt? 소금으로 만든 성은 비가 오면 무너지듯,(nest of salt)는 금세 사라질 수 있는 유명세나 명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내 명성은 허구이며 팬들 혹은 평론가들에게 던지는 냉소적인 질문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내 명성의 허구를 찾았니? 혹은 알겠니?
그래 그 모든 것들 마저 다 내 잘못으로 돌리렴으로 이어지는 것 같네요.
- 가사를 올려놓으신 점이 마음에 들어서 올려보았습니다. 우리는 흔히 커트 코베인이 가사를 굉장히 제멋대로 쓰고 잘못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사를 그저 평서형과 같은 정형된 틀에 놓는 것도 그다지 올바른 방법같지는 않습니다. 플리의 말에 따르면 커트의 가사는 시적인 것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커트의 가사는 은유적이며 비유법을 많이 쓰고 도치법이나 의문형까지도 등장합니다. 이는 커트가 사람들은 자신을 단지 곡만을 쓰는 사람으로 한정한다는 불평을 통해서도 자연스럽게 이해 됩니다. 뭐 해석하기 나름이겠지만 우리는 너바나라는 밴드와 커트 코베인을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음악 > 국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w Far We've Come (Live from Abbey Road) - Matchbox Twenty (0) | 2010.02.10 |
---|---|
7 Days (Acoustic Live in Hamburg) - Craig David (0) | 2010.02.06 |
About a Girl (Live MTV Unplugged in New York) - Nirvana (0) | 2010.02.01 |
Nobody Does It Better (Studio Live, Coverd) - Radiohead (0) | 2010.01.25 |
If I Ain`t Got You (Live, 한글자막) - Alicia Keys (0) | 2010.01.20 |